한국의 소행성

Prompt: A image of planet earth , as it looked the day the meteors hit that kill the dinosaurs, Mysterious

소행성에도 제각기 이름이 붙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이 붙은 소행성도 약 20개 정도 된다. 가장 먼저 붙은 이름은 아마추어 천문가로 알려진 이태형 선생이 1998년에 발견하여 2001년에 붙인 것인데 그 이름은 ‘통일(1998SG5, 23880)’이다. 2002년에는 보현산(34666)이라는 소행성도 태어났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지난 2000년에서 2002년에 걸쳐 보현산 천문대에서 관측한 최무선(63145), 이천(63156), 장영실(68719), 이순지(72021), 허준(72059) 등도 2004년에 국제천문연맹의 승인을 받아 이름이 붙었다. 2005~2006년에는 홍대용(94400), 김정호(95016), 이원철(99503), 유방택(106817)이 등록되었고 임시명을 부여받은 소행성이 14개 더 있다.

지금까지 소행성에 붙인 이름은 우리나라 과학사를 빛내고 명예의 전당에 오른 과학자 14명 중 출생연도 순으로 매긴 것이다. 이렇게 새로 발견된 소행성에 한국 과학자의 이름을 붙인 것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의 역사와 수준을 대내외에 알리고 청소년들에게 천문우주 분야를 알리기 위함이다. 앞으로도 계속 천문을 연구하는 곳에서 소행성을 발견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을 붙일 것으로 믿는다. 한편 일본에서 발견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을 붙인 소행성이 있는데 관륵(4963), 조경철(4976), 서현섭(6210), 세종(7365), 나일성(8895), 전상운(9871), 광주(12252) 등이 있다.

소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과정은 꽤 복잡한데, 소행성 최무선의 경우를 살펴보자. 처음 발견하여 국제천문연맹에 신고를 하면 임시 번호(2000XY13)를 받고, 그 다음에 고유 번호(63145)를 받고, 최종 승인이 나면 고유 이름(최무선, Choemuseon)을 받는다. 발견에서부터 고유 이름 승인까지 길게는 5년, 짧게는 3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천체가 발견되면 임시 이름이 붙어 국제천문연맹에 보고되고, 후속 관측으로 이 천체에 대한 초기 자료가 얻어지면 임시 번호를 받는다. 이후 추가 관측으로 천체의 궤도가 결정되어 고유 번호가 붙는다. 소행성은 발견자가 이름을 제안할 수 있는데, 제안된 이름은 소천체명명위원회에서 공식적인 심사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

소행성의 이름에는 발견자의 이름은 붙일 수 없다. 다만 베토벤, 베이컨, 큐리, 단테, 피카소 같은 유명인의 이름이나 국가, 국제기구, 대학 등 사람이 아닌 것의 이름 등은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몇 가지 규정이 있다. 연문으로 발음 가능한 16자 이내의 단어여야 한다. 정치적이거나 군사적인 행동으로 알려진 개인이나 사건은 당사자가 죽거나 사건이 발발한 지 100년 이내에는 명명될 수 없다. 또 애완동물의 이름은 안 된다. 해왕성 궤도 밖에서 발견되는 소행성은 신화와 관련된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얼마 전 ‘10번째 행성’으로 알려진 ‘세드나(Sedna)’ 소행성은 에스키모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이름을 따와 지었다.

답글 남기기